타이레놀과 자폐스펙트럼장애: 과학적 근거로 살펴보는 진실은?

타이레놀과 자폐스펙트럼장애: 과학적 근거로 살펴보는 진실은?

Min Jung Kwon

최근 논란의 시작

2025년 9월 22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타이레놀을 죽어도 먹지 마라 (fight like hell not to take it)"라는 발언을 한 이후로 산모들이 아세트아미노펜(일반명: acetaminophen, 상품명: Tylenol) 사용이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연관성 때문에 많은 불안과 혼란을 겪고 있는 중입니다.

하지만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과학계와 보건 전문가들은 "상관관계(correlation)가 보고된 적은 있으나, 인과관계(causation)는 입증되지 않았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관련 연구 결과와 전문가들의 입장을 종합해 과학적인 증거를 기반으로 정말 타이레놀과 자폐스펙트럼 장애가 어느정도로 연관이 있는 것인지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 연구 결과: 상관관계는 있지만 인과관계는 없다

🔬 관찰 연구의 초기 결과

일부 관찰 연구에서는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 사용과 아이의 자폐·ADHD 진단 사이에서 약한 상관관계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1]. 이러한 결과 때문에 많은 부모들의 불안이 커진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관찰 연구에는 중요한 한계가 있습니다:

  • 산모가 약을 복용하게 된 이유 (고열, 통증, 감염)
  • 가족력과 유전적 요인
  • 사회경제적 배경과 환경적 요인

이러한 복합적 요인들 때문에 꼭 "약 때문에 자폐가 발생했다"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 스웨덴 형제 연구 (JAMA, 2024)

스웨덴에서 250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된 대규모 연구가 이 문제를 더 정밀하게 분석해 봤는데[2], 형제·자매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유전과 성장환경 같은 요인을 통제하자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결과: 처음 보였던 상관관계가 사라짐[3]

즉, 아세트아미노펜 사용과 자폐·ADHD 발생률 사이에 실질적인 차이는 없었다는 뜻입니다.


📈 2025년 메타분석 (Environmental Health)

46개 연구를 종합 분석한 최신 메타분석도 있었는데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이 내려졌습니다[4]:

  • 일부 연구에서는 연관성이 보고됨
  • 그러나 연구 설계상의 한계로 인해 인과관계를 증명할 수 없음
  • 권고사항: "필요할 때는 최저 용량으로 사용하되, 장기간 사용은 피할 것"


🏛️ 전문가와 국제 기구의 공식 입장

주요 보건 기구들은 일관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라벨에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는 주의문구를 추가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인과관계는 입증되지 않았다"고 명확히 밝혔습니다[5].

세계보건기구(WHO)와 유럽의약품청(EMA)은 더욱 확고한 입장을 보였는데,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은 필요할 때 사용 가능한 가장 안전한 해열·진통제이며, 현재의 사용 지침에 변화가 필요하지 않다고 발표했습니다[6].

미국산부인과학회(ACOG)는 치료받지 않은 발열과 통증이 태아에게 더 큰 위험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아세트아미노펜을 임신 중 가장 우선적으로 권장되는 해열진통제로 계속 인정한다는 입장입니다[7].

이런 입장들을 살펴보면 약물 사용에 대한 과도한 우려보다는 산모와 태아의 전반적인 건강을 우선시하는 의료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 마무리 하면서...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실제 원인에 대한 현재의 과학적 입장을 살펴보면, 자폐스펙트럼 장애와 ADHD는 대부분 유전적 요인과 다양한 환경 요인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8]

임신 중에 아세트아미노펜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한 걱정 때문에 오히려 발열이나 심한 통증을 적절히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이것이 태아의 건강한 발달에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니 참고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의료진과 충분히 상의하여 필요한 경우 안전하게 약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이 내용을 궁금해하셨던 분들께 블로그 내용이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그럼 오늘은 여기서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References:

Gustavson, K., et al. (2024). Acetaminophen Use During Pregnancy and Children's Risk of Autism, ADHD, and Intellectual Disability. JAMA Psychiatry. PMC11004836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24). Study reveals no causal link between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and acetaminophen exposure before birth. Available at: nih.gov

BMC Environmental Health. (2025). Evaluation of the evidence on acetaminophen use and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using the Navigation Guide methodology. Available at: ehjournal.biomedcentral.com

U.S. FDA. (2025). FDA Responds to Evidence of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Autism and Acetaminophen Use During Pregnancy. Available at: fda.gov

Reuters. (2025). EU, WHO counter Trump's warnings on autism and pregnancy. Available at: reuters.com

Reuters. (2025). Is Tylenol safe to take during pregnancy? Available at: reuters.com

Autism Speaks. (2025). Research shows no causal link between Tylenol and autism. Available at: autismspeaks.org

Bai, D., Yip, B. H. K., Windham, G. C., Sourander, A., Francis, R., Yoffe, R., Glasson, E., Mahjani, B., Suominen, A., Leonard, H., Gissler, M., Buxbaum, J. D., Wong, K., Schendel, D., Kodesh, A., Breshnahan, M., Levine, S. Z., Parner, E. T., Hansen, S. N., Hultman, C., … Sandin, S. (2019). Association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With Autism in a 5-Country Cohort. JAMA psychiatry76(10), 1035–1043. 

블로그로 돌아가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