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are
레고 테라피에 대해 아시나요? 사회성 발달에 도움되는 레고놀이 분석!
Min Jung KwonShare
안녕하세요 BCBA 박혜지 입니다. 요즘 레고와 같은 코딩 관련 프로그램들에 대한 관심이 많은데요 오늘은 레고 프로그램과 관련된 “Could You Give Me the Blue Brick? LEGO®-Based Therapy as a Social Development Program”이라는 논문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논문은 레고를 활용한 치료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 (ASD) 판정을 받은 아이들의 사회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합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사회성
자폐 스펙트럼 장애 (ASD)는 사회적 의사소통, 제한된 관심사 및 반복적인 행동 등 다양한 어려움을 포함합니다. 이와 같은 어려움들은 아이들의 사회적 참여와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효과적인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Lego Therapy란?
Lego Therapy는 ASD 아이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협력 놀이를 촉진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입니다. 2004년 LeGoff에 의해 처음 개발된 이 프로그램은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아동들이 사회적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합니다.
Lego Therapy는 세 가지 역할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엔지니어(engineer), 공급자(supplier)와 건축가(builder) 입니다.
엔지니어(Engineer)
엔지니어는 전체 레고 구조물의 설계를 책임지며 조립 과정을 지시합니다. 공급자와 건축가에게 필요한 블록과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때문에 명확한 의사소통이 중요합니다.
공급자 (Supplier)
공급자는 필요로 하는 레고 블록을 찾아 건축가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엔지니어가 지시하는 블록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엔지니어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필요한 블록을 탐색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건축가 (Builder)
건축가는 공급자가 전달해준 블록을 사용하여 레고 구조물을 직접 조립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달 받은 블록을 사용하여 엔지니어의 지시에 따라 블록 조립을 해야 하기 때문에 지시의 세부 사항에 주의를 기울이고 행동으로 옮겨야 합니다.
각 역할은 협력, 의사소통과 상호 의존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게 됩니다.
Lego Therapy는 어떤 효과가 있나요?
본 연구에 따르면, Lego Therapy는 ASD 아이들의 사회성 발달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놀이를 통해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게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이와 같은 사회적 기술 습득으로 인하여 아이들은 큰 어려움 없이 친구를 사귀고 협력적 놀이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을 향상 시키는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아이들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훗날 더 나은 사회적 참여를 가능하게 해준다고 합니다.
연구의 한계점
- 적은 샘플 크기: 이 연구는 소규모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진행 되었기에 결과를 일반화 하기 어렵습니다. 이로 인하여 편향의 가능성도 배제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 연구 디자인의 다양성: 연구 방법과 결과 평가 방법의 차이로 인하여 연구 결과를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합니다.
- 장기적 효과: 아직 Lego Therapy 관련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장기적 효과를 검증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Lego Therapy는 ASD를 가진 아이들의 사회성 발달에 유익한 프로그램임을 나타냅니다. 물론 더 많은 연구가 필요로 하지만 현재까지의 결과는 매우 긍정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레고는 아이들의 놀이 확장 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술 발달에도 도움이 되는 것을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오늘 오랜만에 아이와 함께 다양한 레고 구조물을 만들어보는 시간을 가져 보는 건 어떨까요?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논문 확인해주세요.
- Gallo-Lopez, L., & Rubin, L. (2023). Could You Give Me the Blue Brick? LEGO®-Based Therapy as a Social Development Program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Brain Sciences.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