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아동과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키우는 방법 총정리! - Everbloom Path - Parent Coaching

자폐아동과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키우는 방법 총정리!

Min Jung Kwon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위기에서 극복하고 적응하고 회복하는 능력입니다. 우리가 살면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과 상처를 딛고 스프링처럼 잘 되돌아올 수 있도록 도와주는 능력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빠르게 흐름이 변하고 다양한 기회를 접할 수 있지만 그만큼 실패도 많이 겪는 현대인들에게도 정말 중요한 능력이고,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시련을 잘 극복해나가야 하는 자폐아동이나 청소년 그리고 그 가족들에게도 중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오늘은 자폐아동이나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것을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논문을 통해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첫번째로 살펴볼 논문은:

Kaboski, J., McDonnell, C.G. & Valentino, K. Resilience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Applying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to Optimal Outcome. Rev J Autism Dev Disord 4, 175–189 (2017). https://doi.org/10.1007/s40489-017-0106-4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1. 신뢰할 수 있는 관계:
    • 당연한 말이겠지만, 우리를 단단하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요소는 역시 가족이나 주변사람인 것 같습니다. 어려운 시기에 의지할 수 있는 가족, 친구, 혹은 주변의 다양한 전문가들과의 강하고 긍정적인 관계는 중요한 정서적 지원, 격려 및 안전을 제공하고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2. 자기 조절 기술:
      • 자기 조절 기술(Self-Regulation Skill)은 개인이 감정과 행동을 관리하고 스트레스와 불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아이가 어릴 때부터 감정조절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방법을 알려주고 계시죠? 심호흡, 감각 활동, 구조화된 일상과 같은 기술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문제 해결 능력:
        • 문제 해결 능력 방법을 다양하게 가르쳐주는 것은 어려움을 더 효과적으로 헤쳐 나갈 수 있는 기술들을 많이 쌓아줍니다​. 
        4. 접근 가능한 자원들:
          • 아이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아이를 지원해 줄 수 있는 자원들(Resource)이 있나요? 치료 개입 및 교육 프로그램들은 아이들이 현재 겪고 있는 시련을 잘 넘어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럼 아이들의 회복탄력성을 키워줄 수 있는 개입방법(Intervention Method)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Bayat, M., Schuntermann, P. (2013). Enhancing Resilience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Becvar, D. (eds) Handbook of Family Resilience. Springer, New York, NY. https://doi.org/10.1007/978-1-4614-3917-2_23

            회복력을 키우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

            1. 사회성 기술 훈련:
              • 그룹 활동을 통해 의사소통과 협력을 연습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교육 프로그램은 ASD를 가진 아동의 자신감과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합니다. 
              • 특히 논문에서는 조기개입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는데, 조기개입 프로그램들이 사회적 기술과 정서적 조절을 향상시키는데 큰 효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2. 인지 행동 치료(CBT):
                • CBT는 불안을 다루고 부정적인 사고 패턴과 행동을 인식하고 변경하는 데 중점을 두어 효과적인 대처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마음 챙김 및 이완 기법:
                  • 명상, 요가 등을 포함한 마음 챙김 연습은 스트레스를 줄이고 감정 조절을 향상시켜 전체적인 회복탄력성에 기여합니다​.

                    4. 학교 기반 프로그램: 

                    • 사회적 및 정서적 발달을 지원하는 학교 프로그램은 ASD 학생들의 회복탄력성과 자존감을 키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사회 정서 학습(SEL) 커리큘럼과 같은 증거 기반의 다단계 회복탁력성 개입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고 하니, 학교 선생님들과도 잘 얘기해 보면 좋겠습니다.

                    5. 부모님의 참여

                    • 쉽지 않지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역시 부모님께서 이런 다양한 개입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시는 것인데요. 위에서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서도 가족과의 신뢰관계를 잘 쌓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 스트레스 관리나 상호작용을 건강하고 즐겁게 잘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아이들이 좀 더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고 어려움을 잘 극복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서 논문을 살펴보았는데, 이미 알고 계신 것들이었나요? 아니면 새로운 개입 방법도 있었을까요?

                    자기조절 기술과 문제해결 능력 그리고 사회성 기술은 모두 사회적상황이야기나 사회성 그룹 수업을 통해서 연습할 수 있습니다. 하나씩 차근차근 아이에 맞는 방법으로 아이가 내면을 단단하게 다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시면 좋겠습니다 :)

                     

                    블로그로 돌아가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