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are
자폐 아동/청소년에게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은? 찬성? 반대?
Min Jung KwonShare
안녕하세요.
'국가 주치의'라고도 불리는 미국 공중보건국장 비벡 머시 박사가 소셜 미디어가 아동과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었는데요.
소셜 미디어 없이 살아가기가 참 어려운 요즘...소셜 미디어가 자폐아동과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이나 부모님이 어떻게 개입을 해주면 좋을 지에 대한 고민을 해보신 적은 있으신가요?
오늘은 Psychology Today에서 여러 논문을 바탕으로 어떤 식으로 아이들에게 개입을 해주면 좋을지에 대해 정리한 기사가 있어 가지고 와보았습니다 (기사에 사용된 눈문들은 제일 아래 표시해 놓도록 하겠습니다).
소셜 미디어의 긍정적 영향:
- 사회적 연결:
- 자폐 아동과 청소년은 사회적 연결을 만드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자폐인이 비자폐인에 비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찾는 경향이 더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커뮤니티:
-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자폐 청소년이 관심사와 취미를 공유하는 커뮤니티를 찾는 데 도움을 주고, 자기 표현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런 연결은 긍정적인 자기 정체성을 형성하고 롤모델을 접할 수 있는 기회 또한 제공한다고 합니다.
소셜 미디어의 부정적 영향:
- 정신 건강:
- 연구에 따르면 하루에 3시간 이상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면 청소년의 우울증과 불안 증상을 겪을 확률이 두 배로 증가합니다.
- 자폐 청소년은 특히 취약하며, 70% 이상이 우울증과 불안과 같은 정신 건강 상태를 겪고 있습니다. 과도하거나 문제적인 소셜 미디어 사용은 이러한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사이버 괴롭힘:
- 자폐 청소년은 비자폐인에 비해 괴롭힘과 언어 폭력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더 큽니다. 연구에 따르면 사이버 괴롭힘을 경험한 사람들은 소셜 미디어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에 특히 취약합니다.
- 부정적 묘사:
- 소셜 미디어는 종종 자폐를 낙인 찍는 방식으로 묘사합니다. 적절한 가이드 없이 소셜 미디어에서 자폐에 대한 정보를 찾는 것은 아이의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뇌 발달:
- 비자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 사용 증가가 편도체와 전두엽 피질의 발달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 이러한 뇌 영역은 감정 조절 및 보상 민감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뇌 영역은 자폐인에게서 다르게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소셜 미디어 사용이 자폐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클 수 있습니다.
- 수면 문제:
- 화면에서 나오는 블루 라이트는 멜라토닌(수면 주기를 조절하는 호르몬)을 억제하여 잠들기 어렵게 하고 잠에서 자주 깨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소셜 미디어 사용은 화면에서 방출되는 블루 라이트에 의해 내인성 멜라토닌을 억제할 수 있으며, 자극적이거나 불안감을 주는 콘텐츠는 수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그럼 부모님이나 보호자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요?
공중보건국장 머시 박사의 권고사항에는 소셜 미디어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 입안자, 부모, 연구자에 대한 권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먼저 권고사항을 유심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미디어 사용 계획 수립:
- 소셜 미디어 사용에 대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지침을 설정하여 건강한 온라인 시간 제한과 유익한 콘텐츠 대 해로운 콘텐츠를 명확히 구분합니다.
- 가정의 미디어 사용 계획을 위한 시각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
위험에 대한 교육:
- 아이들에게 소셜 미디어의 잠재적 해악, 예를 들어 부정적인 콘텐츠, 사이버 괴롭힘, 기만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줍니다.
- 역할극과 구체적인 예를 사용하여 괴롭힘이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합니다.
-
부모의 지도:
- 아이가 콘텐츠의 적절성에 대해 질문하고 사이버 괴롭힘을 보고하도록 격려합니다.
- 부정적인 메시지에 좋아요를 누르거나 공유하지 말고 괴롭힘을 학교, 온라인 플랫폼 또는 법 집행 기관에 보고하도록 합니다.
-
수면 위생 증진:
- 수면을 위해 특히 취침 전 시간에 침실에서 소셜 미디어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도록 규칙을 정합니다.
-
상호작용 장려:
- 아이가 즐기는 활동을 통해 가족 및 친구와의 직접 만나서 할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장려합니다.
>>이러한 조치를 통해 부모님과 보호자는 아이들이 소셜 미디어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잠재적인 해로움을 줄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고 얘기합니다.
그럼 ABA 방식으로 소셜 미디어 사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 시각적 일정:
- 시각적 일정을 사용하여 특정 시간에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일정을 정리하여 오프라인 활동을 포함한 균형 잡힌 일과를 유지합니다.
- 긍정적 강화:
- 적절한 소셜 미디어 사용(계획한 스케줄에 맞는 사용, 횟수, 사용시간 등)에 대해 칭찬이나 선호하는 활동으로 보상합니다. 건강한 습관을 장려하고 규칙을 강화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행동 모델링:
- 부모가 긍정적이고 책임감 있게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아이가 따라하도록 유도합니다.
- 사회 상황이야기:
- 소셜 미디어의 사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사회상황이야기를 작성하고, 반복적으로 아이와 함께 읽어봅니다.
- 아이가 사용법에 대해 이해할 때까지 내용을 재수정해가면서 아이에게 건강한 습관을 알려줍니다.
적절한 가이드가 있다면, 부모와 보호자는 자폐 아동이나 청소년이 소셜 미디어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잠재적인 해로움을 줄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논문 확인 부탁드립니다.
참고 자료:
- Alonzo, R., et al. (2021). Interplay between social media use, sleep quality, and mental health in youth. Sleep Medicine Reviews.
- Bakombo S, et al. (2023).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the Percep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 Crone, E.A., & Konjin, E.A. (2018). Media use and brain development during adolescence. Nature Communications.
- Hassrick EM, et al. (2021). Benefits and Risk: A Systematic Review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se by Autistic People. Autism in Adulthood.
- Maiano, C., et al. (2016). Prevalence of School Bullying Among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utism Research.
- Riehm, K. E., et al. (2019). Associations Between Time Spent Using Social Media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Among US Youth. JAMA Psychia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