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are
자폐 아동/청소년들의 은유, 풍자, 비유적 표현 학습에 대해 얼마나 아시나요?
Min Jung KwonShare
안녕하세요, BCBA 권민정입니다.
침대는 가구가 아니라 과학이다..!라는 은유적인 표현이 있는데요.
유명한 광고의 멘트인데, 이 문장이 말 그대로 침대는 가구가 아니다, 라는 뜻이 아니라는 것을 아마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을 겁니다.
이런 문장을 우리는 비유적인 표현 (Figurative Language)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서 은유적인 표현, 속담, 풍자가 이런 비유적인 표현에 속하겠습니다.
비유적 언어는 일상적인 의사소통의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런 표현을 말 그대로 받아들이는 자폐 아동이나 청소년들에게는 비유적 언어를 이해하는 게 큰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1. 어려움 이해하기
문자 그대로의 직유적인 표현과 달리, 비유적 표현은 추상적인 개념을 해석하고, 사회적 단서(social cue)를 이해하며, 말하는 사람의 의도를 파악하는 능력을 필요로 합니다.
Lampri 등 (2024)의 연구를 살펴보면 일부 연구자들은 마음 이론(ToM: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의도를 이해하는 능력)의 결핍이 이러한 문제의 원인이라고 보고, 다른 연구자들은 언어 능력이나 집행 기능(인지적 유연성, 추론 능력 등)의 결핍이 주요 원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특히 풍자의 한 형태인 빈정거림은 특히 혼란스럽게 느껴질 수 있다고 하는 데요. 예를 들어, 누군가가 “와~ 또 이 반찬이야? 진짜 행복하다!”라고 빈정거리는 표정으로 말할 때, 자폐 아동은 정말 말하는 사람이 그 반찬을 좋아한다고 생각한다고 진심으로 받아들일 수 있겠습니다 (Morsanyi et al., 2020)
2. 문맥과 사회적 단서의 중요성
비유적 언어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목소리의 톤, 표정, 신체 언어와 같은 사회적 단서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exman, Reggin, & Lee(2019)의 논문을 살펴보면 문맥을 이해하는 것이 비유적 언어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우와 아인슈타인납셨네!”라고 말할 때, 그 말을 하는 상황이 어떤 상황이었는지, 그 사람이 어떤 톤으로 대화를 하고 있는지, 표정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이 문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문맥적 단서가 없으면, 자폐 아동들은 이러한 발언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이런 논문들을 살펴보면서 우리는 아이들에게 언어와 그것이 사용되는 문맥을 가르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ABA 접근법: 마음 이론의 이해와 관련된 기술 향상시키기
ToM (마음이론)에 대해 알려주는 것은 자폐 아동들의 비유적 언어 이해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밝혀져 있습니다.
다른 사람과의 시각 차이 이해, 공동 주의(joint attention), 사회적 상황 인지하기에 중점을 둔 개입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강조하는 데요. 이러한 방법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과제 분석 (Task Analysis):

- 마음 이론(ToM) 개입:
ToM 개입은 자폐 아동들에게 타인이 자신과는 다른 생각, 신념, 의도를 가질 수 있음을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역할 놀이와 시각 차이 이해 연습을 ABA 틀 안에 포함시킴으로써, 아동들은 비유적 언어인 은유와 관용구를 해석하는 데 필수적인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예시: 에버블룸 역할놀이 카드)
- 사회상황 이야기:

<우리 아이에게 맞는 학습 방법은 무엇일까요?>
어떤 ABA 기반 전략을 사용할지는 아이의 언어발달이나 인지발달 수준, 마음이론의 발달 수준 등에 다르기 때문에, 전문가와 상의하여 아이들에 맞는 목표를 세워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것만 꼭 참고해주세요!
- 비유적 언어를 가르칠 때 명확하고 구체적인 예시를 사용하고, 올바른 해석을 칭찬이나 보상으로 강화해주세요.
- 역할 놀이와 비디오 모델링 혹은 사회상황 이야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녀들이 실제 상황에서 비유적 언어를 연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오늘은 우리 삶에서 정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비유적 표현에 대한 논문과 개입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인내와 연습, 그리고 가정에서의 지원을 통해 아이들이 조금 더 언어 사용에 자신감을 갖고 사회에 나가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저는 또 여러 다른 방법들을 연구하여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