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상담: 학교에서는 괜찮다가 집에 오면 화산처럼 폭발해요

고민상담: 학교에서는 괜찮다가 집에 오면 화산처럼 폭발해요

Min Jung Kwon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민 상담을 받았던 내용을 가지고 와보았습니다.

"아이가 학교에서 기분나쁜 일이 있어도 꾹꾹 참다가 집에만 오면 작은 일에도 분노하고, 회피하거나 크게 울고, 저나 남편에게 화를 내요. 그런데 저희는 영문을 모르니까 어떻게 도와줘야 할지 전혀 모르겠어요"

혹시 비슷한 경험을 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꾹꾹 참는 아이의 성격때문일 수도 있지만,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반응일 수 있습니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요?

감정 전이(Emotional Spillover) 현상

이런 현상을 심리학에서 "감정 전이 현상(Spillover effect)" 또는 "방과 후 무너짐 현상(After-School Restraint Collapse)"이라고 불립니다.

아이들은 학교에서 하루 종일 다음과 같은 일들을 해내는데,

- 수업 시간에 집중하기

- 친구들과 적절히 어울리기

- 학교 규칙 지키기

- 감정을 적절히 조절하기

이 모든 일들이 아이에게 상당한 에너지를 요구하고, 잘 지내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듯해도 마치 근육을 계속 긴장시키고 있는 상태와 비슷할 수 있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아이들은....

감정을 억제하고 가면을 씁니다(Masking). 학교에서 부적절해 보일까봐 진짜 감정을 감추고 억누르며 지내다가 정신적 에너지가 고갈되는 겁니다.

그리고 집에 와서는 더 억제할 힘이 남지 않게 되죠. 집은 아이에게 가장 안전한 공간입니다. 그래서 그동안 참았던 감정들이 한꺼번에 터져 나오는 것입니다.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1. 원인 탐색하기

원인이 집이 아는 다른 곳이 있기 때문에 아이가 집에서 신경질을 내고 화를 내고 폭발하는 트리거는 아마 완전 엉뚱한 것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양말 한 짝이 없어졌는데 갑자기 어마무시하게 화를 낸다거나.... 그러니 아이가 평소와는 다르게 갑자기 집에 와서 폭발할 때는 혼내기 보다는 아이가 왜 그러는지 궁금해해주세요.

"오늘 학교에서 무슨 일이 있었나?"

"뭐가 평소보다 힘들었나?"

언제, 어떤 상황에서 감정이 폭발하는지 패턴을 관찰해보세요.


2. 예방적 접근법

감정 회복 시간 만들어주기

- 이런 일이 자주 있다면 집에 오자마자 숙제보다는 충분한 휴식 시간을 주세요

- 간단한 놀이, 좋아하는 간식, 조용한 휴식 등으로 에너지를 재충전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 예측 가능한 일과표를 만들어 아이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세요


3. 감정 조절 기술 가르치기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하는 법 알려주기

"학교에서 무슨 일 있었어?" 하고 아이와 앉아서 자신의 얘기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아직 감정 조절하는 법이 서툴다면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는 연습이 많이 필요합니다.

"나 000해서 속상해", "나 000해서 기분 나빴어"처럼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도와주세요.

 

스스로 진정하는 방법 익히기

너무 스트레스 받거나 화가 났을 땐 심호흡, 간단한 스트레칭 등 이완 기술을 가르쳐 주세요

스트레스볼, 인형, 조립하기 등 감각이나 손을 활용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감정 조절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아이는 어떻게 하면 가장 스스로 잘 진정하는지 방법을 아시나요?

 

생각 바꿔보기 연습 (Reframing)

"실수해서 많이 속상했었구나. 그래도 실수한다는 건 다시 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뜻이야", "어려워도 조금씩 할 수 있어"처럼 일어난 사건에 대해 되짚어보면서 그것을 reframe (다른 방법으로 생각 전환하기)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아이가 어려워하면 부모님이 어떻게 하는지 모델링 해주시면 좋습니다. 연습하다 보면 아이가 같은 일을 겪어도 스스로 생각을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이 생깁니다.


4. 이미 감정이 폭발했다면...

감정이 이미 터져버려서 아이와 대화할 상태가 아니라면 아이가 차분해졌을 때 대화해보세요:

1) "그때 어떤 기분이었어?" (감정 인정하기)

2) "다음에는 어떻게 해볼 수 있을까?" (대안 찾기)

3) 아이가 스스로 좋은 아이디어를 제시하면 적극적으로 칭찬해주세요

 

인내심을 가져주세요. 

감정 조절 기술은 하루아침에 익혀지지 않습니다. 꾸준한 연습도 필요하고 부모님의 따뜻한 지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작은 변화와 노력을 인정하고 격려해주세요.

아이를 혼내거나 그러지 말라고 억압하기보다는, 건강한 감정 표현과 조절 방법을 함께 배워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블로그로 돌아가기

댓글 남기기